본문 바로가기

고군분투 주식 뿌시기

동시호가란? 동시호가 뜻, 시간, 주문방법 정리(SD 바이오센서 상장 대비 공부)

주식은 체결 원칙부터 어렵고 머리가 아프더라.
그런데 시간 외 거래라니 ~

시간대도 너무 많이 나뉘어져 있고,
나같은 소액으로 적금처럼 하는 사람은 크게 신경쓸 개념이 아니라 생각되어
찾아보고 이해하는 걸 멀찍이 미뤄뒀었다.

근데, 공모주를 하다보니
매도 타이밍을 잡기 위해선 상장 당일 장전 거래(장전 동시호가)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을것 같더라.

그래서 SD 바이오센서 상장 대비 첫 단추로, 동시호가에 대해 정리해본다.



먼저, 주식 거래 타임테이블을 정리해보자면...

 

< 시간대별 거래가능 유형 >

8:30~8:40 장전 시간 외 종가(전일 종가)거래  
8:30~9:00 장전 동시호가 시가 결정
9:00~15:20 정규 시간  
15:20~15:30 장후 동시호가 종가 결정
15:30~15:40 장후 시간 외 종가(당일 종가) 거래  
16:00~18:00 시간 외 단일가 거래 종가 +10%~(-10%) 범위 내 체결 가능(시간 외 상&하한가)

상장하는 주식은 전일 거래가 없으므로,
공모주첫 단추인 장전 동시호가 상황을 유의깊게 지켜봐야하는 것 같다.

 

1. 동시호가 개념

동시 호가란, 해당 시간 내 들어온 여러 호가를 모두 모아 한 시점에 발생한 것으로 간주한다는 의미이다.
즉, 8:30~9:00, 15:20~15:30 투자자들이 건 매수&매도 호가를
즉각적으로 거래 체결을 해주지 않고 10분, 30분간 모아 9:00, 15:30에 동시에 호가된 것으로 본다.

 

2. 거래 체결 방식

장전&장후 일정 시간 동안 호가를 받은 후,
해당 매수&매도 주문들 중 거래가 체결 될 수 있는 짝을
가격우선원칙&거래량우선 원칙에 따라 매칭한 후,
해당 거래들이 체결될 수 있는 단일가
동시에 거래를 체결한다.

쭉쭉쭉 매칭해나가다가, 마지막으로 매칭되는 거래쌍의 매수&매도 호가 중
전일 종가(당일 시가)와 가까운 금액으로 동시 호가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,
9시 그리고 15:30에 동시에 거래가 체결된다.
이 때, 해당 가격보다 높은 매도 금액이나 낮은 매수 금액을 호가한 경우 거래가 체결되지 않는다.


거래가 체결되는 가격이 바로 그날의 시가&종가가 된다.

 

3. 도입 이유

호가를 모두 한 데 모아 가장 많은 양을 체결시킬 수 있는 단일가를,
전일 종가&당일 시가와 비교하여 정한다는 점에서
동시호가는 주가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라 볼 수 있다.

 

4. 동시호가 주문 넣는 방법

동시호가 시간대(8:30~9:00, 15:20~15:30)에 주문창에서

정규 시장 주문과 같이 희망하는 가격(지정가)수량을 적어 매도&매수 주문을 넣으면 된다.

 

5. 동시호가 창 보는 방법

동시호가 시간대에 호가창은 정규시간과 조금 달라진다.

 

동시호가는 정규시간과 달리 호가창에 3단의 호가만을 보여준다.
물론 이 외의 가격으로도 호가를 할 수 있지만, 매칭(거래체결) 확률이 낮아지게된다.


3단 호가에 걸려있는 매수&매도 주문(호가, 주문량)과
시가&종가로 결정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격  상 체결량을 보여준다.

 

위에 세줄이 매수 호가, 아래 세줄이 매도호가이고, 

그 옆으로 나와 있는 막대그래프가 해당 호가에 걸려있는 주문량이다.

 

신한금융투자는 조금 이상하게 예상 가격 및 체결량을

우측 상단을 맨 마지막까지 스와이프해야 보이도록 해놨다.(사진 붉은 박스 참고)

 

신한금투 장후 동시호가 창. 호가가 3단으로만 보인다.

 

그리고 9시, 15시 30분이 되면 동시호가 시간대에 접수된 매수&매도 주문 중,
체결 가능한 주문들은 동시에 거래가 체결된다.
(같은 시간에, 같은 가격으로 거래가 된 것이므로 시가&종가로 거래량이 뻥 튄다.)

 


 

이렇게 정리해보니 드디어 알 것 같다.

이걸 지금까지 모르고 거래하고 있었네 ~

 

다음은 SD바이오센서 상장 당일 유통 가능물량 등 또 다른 판단 기준을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모두들 성투되세요 !